본문 바로가기
  • 다양한 도전 속에서 인생을 설계하는 사람의 전문 다큐 블로그
버킷#3. 배당주 저축(30,000주)

[버킷#3, ETF투자, Day 7] – ETF 저축 포트폴리오 세팅하기: 목표 수량과 계획 공개

by 방랑돌이 2025. 4. 15.

 

안녕하세요, 방랑돌이입니다.

오늘은 제 배당 ETF 저축 프로젝트의 포트폴리오 구성과 구체적인 목표 수량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앞서 공지에서 말씀드렸듯, 저는 수십 년간 주식 투자에서 실패를 반복했습니다.

투자라는 이름 아래 사실상 투기를 해왔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습니다.

기업 분석 능력도, 가치 평가 기준도 없이, 단지 오를 것 같은 느낌에 투자했던 지난날의 저를 반성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주식 투자를 포기할 수는 없습니다.
저축만으로는 노후를 대비할 수 없는 시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주식 저축'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투자 여정을 다시 시작하려 합니다.


✅ ETF 저축의 3가지 원칙

  1. 주식을 저축처럼 하자
    매달 꾸준히 일정 금액을 ETF에 저축하듯 투자합니다.
  2. 배당이 있는 ETF만 모으자
    마치 정기예금처럼, 배당을 통해 현금 흐름을 얻겠습니다.
  3. 세제혜택 계좌(연금저축, IRP, ISA)를 적극 활용하자
    절세는 수익보다 강력한 무기입니다.

🎯 ETF별 목표 수량 공개

이제 구체적인 포트폴리오 구성과 목표 수량을 공유드립니다.

이 목표는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제가 흔들릴 때마다 다시 중심을 잡아줄 ‘배의 닻’과도 같습니다.

                                            종목                                                        수량                                          비고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한국형 SCHD) 18,000주 핵심 배당 성장형 ETF
PLUS 고배당주 ETF 6,000주 국내 고배당 주식 중심
맥쿼리인프라 6,000주 인프라 기반 안정적 배당

위 3가지는 배당금이 꾸준하고 분산 투자에 유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지만, 이 목표는 제 ‘투자 나침반’이 되어줄 것입니다.


📈 매입 계획: 어떻게 채워나갈까?

목표 수량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다음과 같은 월별 저축 계획을 세웠습니다:

  • 매달 정해진 금액을 자동매수
    – 특정 날짜에 자동으로 계좌에서 매입이 이뤄지도록 설정
  • 분기별 점검 및 리밸런싱
    – 분기마다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과한 비중은 조정

심리적으로 휘둘리지 않도록 시스템화하는 것이 이번 도전의 핵심입니다.


🙏 구독자 여러분께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중에도 저처럼 투자에 실패한 경험이 있는 분들이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런 분들께 이 여정이 작은 위로와 응원이 되길 바랍니다.

저는 매입 과정과 변동 상황을 꾸준히 이 블로그에 기록할 예정입니다.
혼자서는 흔들리지만, 함께라면 버틸 수 있습니다.

응원해주시고, 함께 ETF 저축 여정을 걸어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다음 글에서는 실제 매입 결과와 포트폴리오 변화 상황을 상세히 공유드리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